역사 속의 전염병과 한의학

송지청

브랜드 은행나무 | 발행일 2022년 9월 16일 | ISBN 9791167372123

사양 변형판 140x210 · 160쪽 | 가격 16,000원

분야 종교/역사

책소개

인류를 지속적으로 위협해온 바이러스에 대해

동아시아인들은 어떻게 인식하고 또 대처해왔을까

한의학의 발전과 기록을 통해

전염병에 대한 치료법과 약재에 대해 알아본다

 

한국국학진흥원이 오늘날 우리 사회의 여러 문제에 대한 해답의 실마리를 고전의 지혜에서 찾아 그 대안을 모색하고자 새롭게 기획한 국학진흥원 교양학술 총서­고전에서 오늘의 답을 찾다의 여덟 번째 책 『역사 속의 전염병과 한의학』이 출간되었다.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전 세계를 공포와 두려움으로 몰아넣은 지 만 2년이 지나도록 그 위협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역사 속에서 지속적으로 인류를 위협해온 바이러스를 우리 선조들은 어떻게 인식해왔는지, 또 그 폐해에 대처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여왔는지 궁금해하지 않을 수 없다. 『역사 속의 전염병과 한의학』은 바로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시작된 책으로 저자이자 한의사인 송지청 대구한의대학교 교수는 동아시아, 주로 중국과 조선의 문헌을 통해 이 지역에서 발생한 전염병의 특징과 코로나바이러스를 비교한다. 나아가 소아전염병, 전쟁과 전염병의 관계, 전염병 대처를 위한 음식 처방과 납약 등 전염병과 관련된 다양한 부분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의학이 발달하게 된 계기도 찾아본다.

 

역사적 기록에서 찾은 전염병

고열을 동반한 온역(溫疫)’에 대한 인식

 

중국 의학사에서 주요 의학론이 등장한 시기는 크게 한대(漢代)와 금원·명청대(金元明淸代)로 구분할 수 있다. 전자는 최초의 의학이론서인 『황제내경(黃帝內經)』 그리고 외부의 환경이 고르지 못해 발병하는 감기와 같은 질병인 외감(外感)을 주로 다룬 의학전문서 『상한론(傷寒論)』이 등장한 시기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상한론의 한계가 지적되기 시작했다. 상한파들은 외부에서 오는 사기(邪氣)인 풍한서습조화(風寒暑濕燥火)의 여섯 가지 기운[六氣]으로 인해 병이 생긴다고 간주했는데, 분명히 어떤 질병은 이러한 육기와 전혀 다른 원인으로 생기기 때문이었다. 즉 이상한 기운[乖戾地氣]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에 대한 문제제기를 한 것인데 이 질환은 한 집안을 멸족시키는 것은 물론 그 외의 사람들에게까지도 영향을 미친다고 했다(수대(隋代) 소원방(巢元方)의 『제병원후론(諸病源候論)』). 이것이 곧 우리가 지금 전염병이라고 일컫는 병에 대한 인식의 시작이었다.

이후 전염병은 명청대에 들어 전국적으로 역병이 돌면서 다시 주목받기 시작했는데, 특히 고열을 동반하는 것이 특징이라 하여 ‘온역(溫疫)’이라고 불렸다. 이때에는 사람들이 이 병이 전염된다는 사실을 명확히 알았기에 의학적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었고, 이것이 온역론(瘟疫論)으로 발전하였다. 이를 연구한 서적도 다수 출간되면서 형성된 온병학파는 한대의 상한학파와 대립하였다.

전염병에 대한 인식은 특히 호환, 마마, 마진과 같이 어린이를 중심에게 주로 퍼져나갔던 소아전염병을 중심으로 발전되었다. 또한 역설적이게도 전쟁 등과 같은 열악한 환경에서 무수한 인구의 희생이 발생했을 때 이를 바탕으로 발전하는 경향을 보였다.

전염병에 대한 인식의 확장과

한의학적 치료약으로서의 납약

 

중국 명대에 들어 열성 전염병에 대한 인식이 온전해졌다고 보는데, 기록을 살펴보면 명나라 240년 동안 전염병이 60여 차례 돌았다고 한다. 따져보면 4년에 한 번꼴로 사스, 메르스, 코로나19와 같은 전염병이 발생해 사람들이 고초를 겪었다는 말이니, 결코 적지 않은 수이다. 전염병은 기존의 풍한서습조화의 문제가 아닌 이기(異氣)의 침입으로 인한 것으로 보았고 감염 경로 또한 입과 코를 통해 들어온다고 주장하는 이도 나타나기 시작했다(오유성의 『온역론(瘟疫論)』). 이 전염병은 발열을 주요 증상으로 하고 탈수증까지 발생시키는 급성 외감 열병으로 분류되었고, 이를 다양한 증상으로 세분하여 인식하기에 이르렀다.

이에 우리 선조들은 이 전염병에 대처하기 위해 약식동원(藥食東原)의 철학에 따라 다양한 음식을 이용해 이겨내고자 했고 이에 대한 다양한 기록이 남아 있다. 또한 전염병의 증상에 맞는 치료약을 사용하기도 했는데 대표적안 예가 바로 납약(臘藥)이다. 납약이란 납일(臘日, 동지 뒤 세 번째 미일(未日)로 지난 1년을 되돌아보며 조상에게 제사를 지내는 날)에 임금이 신하에게 하사하는 약을 말하며, 대표적인 것으로 우황청심원, 소합환 등이 있다. 이 납약은 기본적으로 온역과 같은 전염병을 물리치는 데 사용하고자 만든 것으로 『조선왕조실록』과 『승정원일기』를 살펴보면 조선의 왕들이 납약을 어떻게 사용하였는지에 관한 많은 기록이 남아 있다.

목차

머리말

1장 전염병과 한의학
1. 전염병의 시대
중국 역사에 전염병이 등장하다
전염병은 홀로 발생하지 않는다
2019년 코로나바이러스의 등장
2. 소아 전염병
호환
마마와 마진
3. 전쟁과 전염병
전쟁과 의학
군인과 의학
전쟁과 전염병의 전파

2장 의학이론의 발달 과정
1. 의학이 발달할 수 있었던 전기
송나라 과학기술의 발전
송나라 의학의 발전
2. 의학의 발달
전쟁 속의 의학 : 북송의 멸망과 금·원의 등장
새로운 의학의 등장
3. 전염병에 대한 인식
전염병이 나타나는 조건
전염병에 대한 인식의 확장

3장 한의학에 대하여
1. 자연 속의 한의학
자연과 한의학
2. 생활 속의 한의학
돼지고기
닭고기

부추
염교(중국 파)
아욱
3. 전염병에 대한 한의학적 치료

맺음말
참고문헌

작가 소개

송지청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한의학과를 졸업한 후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한의예과와 한의학과 학과장, 대한한의학원전학회 총무이사, 송지청한의원 원장 등을 거쳐, 현재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부교수, 대외교류처 부처장을 역임하고 있다. 또한 한국의사학회 윤리위원장, 대한한의학원전학회 정보이사로 활동 중이다.

표지/보도자료 다운로드
독자 리뷰

독자 리뷰 남기기

9 +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