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튼콜 한국 현대미술

한국 현대미술가 30인의 삶과 작품

정하윤

브랜드 은행나무 | 발행일 2019년 3월 18일 | ISBN 9791188810932

사양 변형판 146x216 · 260쪽 | 가격 15,000원

분야 예술/대중문화

책소개

‘거장’과 ‘재발견’ 그리고 자부심

서른 명의 미술가의 삶과 작품으로 톺아보는
한국 현대미술 감상기

친숙한듯하지만 낯선 20세기 한국 현대미술의 흐름을 시원하게 꿰어 온전한 이해로 채우는 책 『커튼콜 한국 현대미술』이 은행나무출판사에서 출간되었다. 대학 수업과 대중 강연에서 ‘한국 현대미술의 이해’를 지도해온 젊은 미술사학자 정하윤이 필요에 의해 써 내려간 원고가, 강의 현장에서 수정을 거듭해 완성도 높은 교양서로 거듭났다. 대화하듯 읽다 보면 그림이 궁금해지고, 미술관에서 마주하고 읽어낼 자신이 생기는, 그리하여 마침내 예술의 힘을 내 것으로 만들게 하는, 쉽고 편안한 한국 현대미술 입문서다.

국내 단색 추상화의 세계적인 인기에 비하면 한국 현대미술에 대한 지식은 아직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다. 한국첫 서양화가인 고희동을 비롯한 김관호, 오지호와 같은 작가의 작품을 서구 문명의 도입과 함께 ‘서양화’라는 기술을 익히기 급급했던 독창성이 다소 부족한 작품으로 보는가 하면, 해방 후의 서세옥, 이응노와 같은 작가들의 파격적으로 현대적인 한국화 앞에서는 ‘한국성’을 요구하며 낯설고 어색하다고 어려움을 토로한다. 저자는 서구 미술 유파의 영향을 받은 그림들, 그저 흉내 내기로 폄하되었던 우리의 서양화에 얽힌 사연을 들려주고, 그림을 다시 마주하게 한다. 그리고 이것이야말로 고민과 실험 속에 훌륭하게 재창조된 창의적인 작품이 아니냐고 묻는다. 책장을 넘길수록 국내 현대미술의 복합성에 놀라고, 함께 숨 쉬는 동시대 작가들의 뛰어남에 자부심을 얻게 될 것이다.

 

세계는 왜 한국 화가의 단색 추상화에 열광하는가?
_한국 현대미술을 커튼콜하다

전쟁과 분단뿐 아니라 70~80년대 민주화와 최근의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까지. 혼란한 시절 꿋꿋이 붓을 들은 미술가들이 한국 미술의 근간과 오늘을 다져왔다. 아니, 사회와 역사를 변화시켜왔다. 임시 정부 수립 백 주년을 기념하여 독립운동가를 주목하듯, 연구의 맥이 끊겼던 근대미술가들을 회고하는 움직임이 있다. 월북 작가라는 이유로 35년간 묻혔다가 해금되어 대중 앞에 공개된 이쾌대의 푸른 자화상이 사람들의 얼마나 큰 관심과 안타까움을 자아냈는지를 떠올리면 반가운 현상이다.

이 책은 이중섭, 박수근, 백남준처럼 작품보다 이름으로 먼저 아는 작가들의 작품 세계를 정식으로 소개해주고, 한국 현대미술의 계보를 훑음으로써 이름들 사이의 공백을 채워 더 단단한 이해로 인도한다. 나아가 최정화의 플라스틱 소쿠리나 강익중의 광화문 가림막처럼 우리가 스쳐 지나간 작품들이 발걸음을 멈추고 경탄할만한 훌륭한 예술품인 이유를 납득할 수 있게 친절히 알려준다. 또한 저자는 여성 미술학자로서 나혜석과 천경자, 윤석남, 이불과의 만남을 공들여 주선한다. 여성 서사에 귀를 기울이되, ‘여성주의’라는 틀로 작품을 해석하는 것의 위험도 당부한다.

이렇게 이 책은 1900년부터 현재까지, 2차원의 그림에서 퍼포먼스, 공공미술까지, 반드시 짚어야 할 대표 작가 서른 명을 엄선하여 그들의 삶과 작품으로 한국 현대미술 연대기를 새롭게 쓴다. 시대별로 미술의 역할을 톺아보고 근현대를 돌아보는 것, ‘거장’과 ‘재발견’ 말고도 『커튼콜 한국 현대미술』은 결정적인 장점을 갖고 있다. 그것은 바로 스스로 그림을 해석하는 눈을 얻게 된다는 것. ‘우리 것’ 한국 현대미술의 만남보다 더 기쁜, ‘내 것’을 얻게 되는 시간을 직접 겪어보기를 강권한다.

 

보석은 가까이에
_한국 현대미술을 빛낸 서른 개의 영혼

우리 선조에게 그림은 사대부의 고상한 취미였다. 감정과 생각을 담아 난을 치고, 무릉도원을 상상해 그렸다. 부유한 집안에 태어나 그림을 배우기 위해 일본으로 건너갔던 선구자들은 분명 서양화가 지독히도 기술에만 충실하다는 사실에 놀랐을 것이다. 비례나 원근, 양감과 같은 기법을 익히고 여기에 우리의 정신을 담아내기 위해 고군분투한 흔적을 저자는 작품의 붓질에서 찾아낸다.

우리나라 첫 누드화인 〈해 질 녘〉은 일본에서 가장 권위 있는 국가 미술 공모전에서 특선했음에도 불구하고 벌거벗은 여인을 담았다는 이유로 작품 사진 없이 수상 소식만 신문에 실렸다. 이 웃지 못할 모순적인 에피소드와 더불어, 저자는 이 누드화가 내포한 진짜 중요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프랑스의 서양 누드화를 일본이 습득하고, 그 일본의 서양화를 조선인이 익혀 한국화와 접목했다는 조선식 서양화의 탄생 배경을 듣노라면 가슴 벅차는 항거 정신이 느껴질 정도다.

책에서 반복해서 강조하는 것은 그림과 화가에 대한 평가에 앞서 시대 상황, 그리고 작가의 배경을 두루 살펴야만 올바르게 작품을 판단할 수 있다는 것. 이 태도를 익히게 되면 미술관의 그림은 더 이상 2차원의 그림이 아닌, 현재의 우리에게 말을 걸어오는 ‘영혼’이 되는 것이다.

나아가 뜨거운 감자였던 이인성의 〈경주의 산곡에서〉에 얽힌 붉은 향토색 논쟁과, ‘한국의 인상주의자’라는 오지호의 이름 앞에 붙는 수사에 대해 우리가 지금 생각해볼 지점도 명쾌하게 짚는다.

이렇게 이 책은 일찍 세상을 떠났거나 월북했거나, 미술 제도권 밖에서 활동해 제대로 조명받지 못했던 한국의 현대미술가 한 명 한 명의 삶과 작품을 소환한다. 서양미술에 비해 시공간이 절대적으로 가까운 창작 활동을 살펴보는 행위가, 앞마당의 보물을 발견한 듯 흥미롭고 기쁠 것이다.

 

현대미술, 어떻게 감상할까?
_다각적‧주체적 감상 훈련

광활한 우주를 떠올리는 전면 점화를 그린 김환기, 거칠고 역동적인 소의 이중섭, 화강암을 떠올리게 하는 박수근, 미디어아트의 선구자 백남준. 이런 판에 박힌 정보 말고 더 내밀한 이야기와 특별한 감상을 원한다면?

저자는 새로운 작가를 소개할 때마다 그의 대표작을 보여주며 먼저 가만히 바라보기를 요청한다. 그리고 작품 내적인 요소를 하나씩 짚어 본다. 색감이 어떤지, 소재가 무엇으로 보이는지, 구도는 안정적인지 독자에게 질문한다. 그리고 이어서 작품 외적인 요소, 작품의 시대 배경과 화가의 삶을 들려준다. 이 모든 과정 끝에 그림을 다시 보면 처음에는 보이지 않던 곳이 보이고 들리지 않던 이야기가 들린다. 화가가 어떠한 배경에서 어떠한 목적을 갖고 그렸는지를 생각하면 오독의 위험을 예방하는 것은 물론, 그림을 감상하는 주체적인 능력을 기를 수 있음을 깨닫게 된다.

 

미술관으로 향하는 근육을 얻다
_예술의 힘을 보여주는 책

『커튼콜 한국 현대미술』의 궁극적인 목표는독자들을 미술관으로 안내해 예술의 힘을 얻게 하는 것이다. 거대 화폭이 주는 숭고미에 휩싸이게 하는 환기미술관, 저자의 선함과 진실함이 형상화된 박수근미술관, 작은 것의 아름다움을 일깨워주는 장욱진미술관, 평화와 화합의 에너지가 넘치는 이응노미술관, 서울에서 보는 것과는 다른 차원의 감동이 있는 제주의 김창열미술관 등을 방문 소감과 함께 실었다. 이렇게 가까운 곳에 각각의 개성과 의미를 지닌 미술관이 있었다는 사실에 놀라고, 다가오는 주말에 당장 달려가고픈 마음이 생길 것이다.

목차

들어가며_ 친절한 입문서가 되기를 바라며

1부 20세기 초, 흔들리는 미술
고희동|최초의 의미
김관호|창의적 굴절
이인성|조선의 색
나혜석|어떤 사명
오지호|생명과 환희의 빛
구본웅|모던보이의 초상
이쾌대|명랑한 개척 의지

2부 해방 직후, ‘한국성’을 찾아서
박수근|선함과 진실함의 힘
김환기|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
유영국|현실에 발붙인 추상
이중섭|밝은 슬픔
장욱진|나는 심플하다
서세옥|본질에 충실한 혁신
이응노|자유・평등・화합의 군상
천경자|불길을 다스리는 여행

3부 1970년대, 다양한 실험들
박서보|살아 있는 현대미술사
정상화|치열한 탈속의 추상 세계
김창열|화두를 비추는 물방울
김구림|재미있는 것을 해내는 용기
이건용|어디까지가 미술인가?
이승택|바람을 보다
백남준|인생을 짭짤하고 재미있게

4부 1980년대 이후, 사회 안으로
오  윤|민중을 대변하는 그림
신학철|십자로 접힌 염원
윤석남|불쌍한 엄마되길 거부하다
이동기|팝아트라 단언하지 말라
최정화|삶과 맞닿은 예술
서도호|이동하는 나의 집
이  불|당연한 것은 하나도 없다
강익중|미술의 가능성

작가 소개

정하윤

이화여자대학교 회화과와 동 대학원 미술사학과를 졸업하고, 캘리포니아 주립대학 샌디에이고 캠퍼스에서 중국 현대미술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귀국 후 이화여자대학교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재직했다. 박사학위 논문 「1980년대 상하이의 추상미술Abstract Art in 1980s Shanghai」을 비롯해 「1930년대 상하이와 서울의 잡지에서 재현된 모던 와이프 연구Searching for the Modern Wife in 1930s Shanghai and Seoul Magazines」 「유영국의 회화: 동양의 예술관을 통한 서양미술의 수용」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지은 책으로 『엄마의 시간을 시작하는 당신에게』가 있다.

표지/보도자료 다운로드
독자 리뷰

독자 리뷰 남기기

4 +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