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스팔마스는 없다

오성은

브랜드 은행나무 | 발행일 2023년 11월 27일 | ISBN 9791167373694

사양 변형판 123x188 · 240쪽 | 가격 16,800원

분야 국내소설

책소개

바다가 집이자 운명이었던 남자
붉은 수평선 너머 이문二門을 열고 빛을 향해 걸어가다

“따뜻한 성정과 인류애를 떠오르게 하면서
차갑고 냉정한 세계와도 마주하게 하는 작품”_백가흠(소설가)

-

2018년 진주가을문예에 중편소설 〈런웨이〉가 당선되며 작품 활동을 시작한 오성은의 첫 장편소설 《라스팔마스는 없다》가 은행나무출판사에서 출간되었다. 소설집 《되겠다는 마음》에서 보여주었던 섬세한 서정성과 환상 서사는 《라스팔마스는 없다》를 통해 더욱 확장되고 깊어지는 양상을 보인다. 소설가 백가흠은 이번 작품을 읽고 “작가 오성은의 문학적 여정을 함께한다는 것, 같은 시대를 보내고 있다는 것은 독자로서 축복이다”라는 찬사를 남기기도 했다.

소설은 영도 연안에서 기름배를 모는 선장 심만호가 알츠하이머 판정을 받은 뒤 수십 편의 글 뭉치만을 남긴 채 자취를 감추면서부터 시작된다. 하루아침에 사라져버린 아버지의 흔적을 찾아 헤매는 규보. 아버지가 남긴 ‘글’과 주변 인물들의 ‘증언’을 통해 규보는 그동안 아버지가 감춰왔던 진심과 표정을 어렴풋하게나마 짐작한다. 흐려지는 기억을 붙들기 위해 쓰기 시작한 글이, 실은 심 선장 스스로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게 한 매개체가 되었다는 점을 미루어 보아 이 작품 속에서 ‘글’이 인물 내면에서 작동하는 방식은 굉장히 인상적이다. 아버지가 쓴 글을 읽어나가는 규보, ‘이문’이란 공간에서 쓰고 낭독하는 일, 만호가 지어 보낸 아들의 이름 등 많은 것들이 ‘글로써 직면하기’와 맞닿아 있다.

또한 오성은은 환상(아버지의 글)과 현실(사람들의 증언)을 오가는 구성을 차용해 바다가 품고 있는 불확실성을 기저에 깔고, 대양大洋을 둘러싼 외항 선원들의 이야기를 촘촘하고 밀도 있게 쌓아나간다. 그러는 한편 심 선장의 어머니인 성주댁, 규보의 어머니인 경희 씨의 이야기는 거친 폭풍이 한바탕 휩쓸고 지나간 바다처럼 잔잔하고 서정적으로 흐르며 소설의 균형을 잡는다. 이렇듯 《라스팔마스는 없다》는 기존의 해양 서사를 바탕으로 새로운 방식의 해양 노마드 서사를 완성해냈다.

그래도 시간이 지나면 바다는 마음을 바꾸고 자리로 돌아가. 해를 보드랍게 만지작거리거나 투명한 물빛을 내어놓으며 이리 들어오라 하는 거야. 바다에는 거북이가 살고, 소라가 살고, 가자미가 성게가 해파리가 살고……, 그리고 거기에 네 아버지가 있다.” _본문에서

-

하늘과 바다의 경계가 허물어진 깊은 어둠을 지나
파도의 목소리를 실어나르다

심만호 선장은 무성호의 주인이다. 젊은 시절 외항선 선원이었지만 지병을 앓던 아내가 세상을 떠나자 아들 규보를 돌보기 위해 뭍으로 돌아와 내항선 선장 자격증을 취득한다. 그는 전 재산을 끌어 모아 작은 유류선 한 척을 사들여 ‘무성호’라 이름 붙인다. 무성호는 심 선장의 몸이 되어 바다 이곳저곳을 누비고, 심 선장은 기름을 운반한 돈을 모아 규보를 키웠다.

규보는 한 경비업체의 사무원으로 취직해 9년을 근속으로 일하던 중, 자신과 함께 일해보지 않겠느냐는 아버지의 제안에 뱃사람이 된다. 하지만 아버지와 일하는 방식이 극명하게 달랐던 규보는 결국 뱃일을 그만두고, 이후 작은 편의점을 운영하며 종종 아버지의 식사를 챙기러 영도 항구로 간다. 그러던 어느 날, 규보는 아버지가 알츠하이머에 걸렸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초기라 증세가 심각하진 않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점점 더 알 수 없는 소리를 해대는 아버지를 보며 걱정이 많다. 바닷가 주변의 호텔 공사가 시작되며 항만은 뱃사람들로부터 서서히 멀어지고 있었다. 근처 공장을 허물고 카페가 들어설 거라고, 조각배들이 정박된 바다에 요트가 떠다닐 거라고 소문이 돌았다. 평생을 뱃사람으로 산 아버지는 그 변화를 견디기 어려울 것이다. 병의 증세가 심해질수록 배를 타는 것조차 어려울 것이므로 규보는 아버지를 위한 노후 대책을 하루 빨리 세워야 한다는 생각에 사로잡힌다.

“규보는 아버지가 이끄는 대로 낮은 의자에 앉아 머리를 숙였다. 아버지는 비누 거품을 내 좁은 등을 문지르기 시작했다. 아버지의 손바닥은 때수건보다 더 거칠거칠했다. 규보는 천장에 맺힌 수증기가 물방울이 되어 떨어지는 소리를 듣고 있었다. 아버지는 등을 슥슥 밀어나갔다. 규보는 아무런 생각도 하지 않았다. 그저 물방울이 몇 번 떨어지나 세고 있었다. 물방울이 바닥으로 떨어지는 동안 규보가 기억하던 심 선장은 불현듯 왜소한 노인이 되어버렸다. 정말 몇 방울이 떨어졌을 뿐이었다.” _본문에서

언젠가부터 아버지는 자꾸 라스팔마스 이야기를 꺼냈다. 한 번도 언급한 적 없던 할아버지 이야기를 불쑥 꺼내더니 “라스팔마스에 가면 할아버지를 만날 수 있다”고 말하는 것이다. 규보는 할아버지가 라스팔마스에 간 이야기를 한참 동안이나 듣고 있다가 결국 답답함을 감추지 못하고 아버지에게 따져 묻는다. 도대체 할아버지 이야기는 왜 자꾸 하는 거냐고. 그날, 심 선장은 규보에게 한마디 말을 남기고서 무성호와 함께 감쪽같이 사라져버린다. “규보야. 저 배는 항구가 집일까, 바다가 집일까.”

“저는 요즘 들어 제가 아닌 사람이 되는 경험을 종종 합니다. 지금 이 순간도 정말 본연의 제가 맞는지 확신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달리 생각해보면, 내가 백 퍼센트의 나 자신이라고 여길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요. 그래서 제가 여기에 와 있는 건지도 모르겠습니다.” _본문에서

규보는 경찰에 실종 신고를 한다. CCTV를 다 뒤졌지만 심 선장이 마지막으로 만난 사람은 아들 규보였다. 규보는 아버지가 남긴 흔적들을 뒤지다 아버지가 1년 넘게 ‘이문’이라는 곳으로 일정한 돈을 보내고 있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규보는 이문을 찾아가 아버지의 행방을 묻는다. 이문의 주인인 한 사장은 심 선장이 어디로 갔는지는 알 수 없지만 그가 여기서 줄곧 글을 써왔다는 사실을 규보에게 알려준다. 규보가 아버지의 글을 읽고 싶어 했으나 그건 심 선장 개인의 글이라 보여줄 수 없고, 한 사장은 대신 그의 낭독 영상이 담긴 USB를 건넨다. “어떤 글들은 유언장을 대신합니다.” 한 사장의 말이 마음에 걸렸으나 규보는 애써 마음을 다잡는다. 아버지는 절대, 스스로 목숨을 끊지 않았을 것이라고.

심 선장 주변 사람들은 규보에게 아버지가 스스로 배를 끌고 나갔으면 절대로 바다에 빠지진 않았을 거라고 말한다. 배를 그렇게 오래 탄 사람이라면 배가 뒤집히지 않는 이상 빠질 일이 없다는 것이다. 규보는 우연히 아버지가 언급했던 〈돛과 배〉라는 전시 포스터를 발견한다. 조강우 개인전. 그는 조강우의 작업실을 수소문해 찾아가고, 조강우의 전시 프로젝트가 실은 아버지로부터 시작한 것이라는 놀라운 이야기를 듣게 되는데…….

“조강우가 낭독회 영상을 보고 있는 동안 규보는 창가로 다가가 항구의 낮은 풍경을 바라보았다. 노트북 스피커를 통해서 심 선장의 목소리가 나지막이 들려왔다. 규보는 벌써 몇 번이나 돌려본 영상이었다. 창 너머 바다에는 물비늘이 넘실거리고 있었다. 어떤 시간대의 바다는 거대한 물고기의 표피 같기도 했다. 바다의 오후가 느리게 흐르고 있었다. 심 선장의 목소리가 텅 빈 작업실 내에서 울리고 있었다. 규보는 이젠 거의 다 외울 수 있을 정도로 문장 하나하나가 익숙했다. 작은 배들이 수시로 오가며 물결을 만들고 있었다.” _본문에서

-

기운 달과 함께 저물어가는 기억들
생명의 빛은 언제나 한 방향으로만 맹목적이었다

바다는 자유와 속박이 공존하는 공간이다. 어디로든 갈 수 있지만 어디로도 갈 수 없는 곳. 배는 끝없는 망망대해 위에 있지만 선원들은 오직 배 위에서만 생존할 수 있고, 바닷길은 어디로든 뚫려 있지만 배가 갈 수 있는 길은 정해져 있기 때문이다. 심 선장은 외항선 생활을 정리하고 부산으로 돌아와서도 바다와 배를 떠나지 못한다. 바다 위에서의 고립된 시간이 그에게 심각한 우울증을 유발했음에도 배를 계속 탄다. 탈 수밖에 없다. 평생 파도를 가르며 살아온 심 선장에게 ‘바다’는 삶 그 자체였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알츠하이머 판정은 그에게 사형선고와 다름없는 일이었을지 모른다. 사랑하는 어머니와 아내, 그리고 아들에 대한 기억이 조금씩 사라지고 종국엔 자신까지 잃어가는 병. 하지만 심 선장이 기억을 붙들기 위해 글을 써나가는 과정은 역설적이게도 그를 ‘스스로’ 움직이게 한다.

한편 소설은 부산 영도, 특히 항구를 중심으로 한 깡깡이 마을의 변화를 섬세하게 묘사하고 있다. 파도를 가르는 거친 갑판 위의 삶을 뒤로하고 그가 돌아온 곳은, 그를 숨 쉬게 했던 기억으로 가득한 고향 영도다. 실제 ‘깡깡이 마을’은 선박의 표면에 슨 녹을 벗겨내는 망치질 소리 때문에 ‘깡깡이 마을’이라고 불리게 되었는데, 이는 작품 속에서 성주댁이 만호를 키우기 위해 몸 바쳤던 일이기도 하다. 깡깡이질 소리가 울려퍼지던 마을은 시대가 바뀌며 이제 깡깡이 예술마을로 변화했고, 이는 만호의 세대가 규보의 세대로 넘어갔다는 의미이기도 할 것이다.

“그가 이 바다에서 다른 바다로 생을 가로지르는 동안 규보는 슬픔도 두려움도 없이 제 속도로 커나갔다. 규보가 자라나는 만큼 주변의 것들은 희미해지거나 작아지고 있었다. 생명의 빛은 언제나 한 방향으로만 맹목적이었다.” _본문에서

목차

섬, 사라지다
유언장
돛과 배
무성호
카트리나
묘박지
또 다른 문
라스팔마스는 없다

작가의 말

작가 소개

오성은

부산 영도에서 태어났다. 2018년 진주가을문예에 중편소설 〈런웨이〉가 당선되어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소설집 《되겠다는 마음》이 있다.

오성은의 다른 책들

표지/보도자료 다운로드
독자 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