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중에서 길을 물었더니

지음 서화동

브랜드 은행나무 | 발행일 2002년 5월 18일 | ISBN 9788987976963

사양 변형판 148x210 · 350쪽 | 가격 15,000원

분야 종교/역사

책소개

희망도, 고통도, 행복도 원인은 나에게 있으니
조용히 살다 조용히 가는 것이 쉽지 않은 세상이다. 온갖 유혹이 난무하고, 유혹에 휩쓸리지 않으려고 발버둥치면 미련한 사람으로 치부되는 세상이니 더더욱 그럴 수밖에 없다. 모두가 각자의 야망과 욕심을 가지고 사는 세상 — 그래서인지 요즘 들어 사건사고가 참 많은 편이다. 대통령 아들의 부정축재, 700만 원의 카드 빚 때문에 6명의 여성을 연쇄살인, 3000만 원의 빚 때문에 모녀 투신 자살, 치매 증상이 있는 어머니를 제주도에 버린 자식, 300만 원에 거래되는 신생아, 신상 공개 뒤에도 줄지 않는 원조교제 ……. — 참 답답한 일이지만, 이것들이 모두 우리가 살고 있는 이 땅에서 실시간으로 벌어지게 있는 사건사고들이다. 아무리 빈부의 격차가 심해지고, 하루하루 살아가는 게 힘들다해도 사람으로서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은 분명 정해져 있다. 이를 거스르면 금수보다 못할 것이 뭐가 있겠는가? 화엄경에 선용기심(善用其心·마음을 잘 쓰라는 뜻)이라는 말이 있다. 사람마다 각자의 마음을 잘 쓰면 평안해지고 세상도 평화로워진다는 의미이다.
불교 경전에서 최고로 인정되는 화엄경의 큰뜻이 마음 심(心) 자 하나에 다 들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자신이 마음먹기에 따라 이 세상이 극락이 될 수도, 지옥이 될 수도 있다는 뜻이다. 물론 이 말이 가진 자들에게는 화두로 전해질 수 있지만, 없이 사는 사람들에게는 말 자체가 사치로 비쳐질 수도 있다. 그러나 불교의 가르침을 따라가다 보면 그렇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불교에서는 우리 각자의 마음에 자리잡고 있는 부처님만 찾아낼 수 있다면 이 세상을 살아가는 게 지금처럼 힘들지는 않을 것이고, 설령 지금 힘들더라도 내생이 평안해진다고 한다. 정말 마음 심(心) 자 하나에 모든 것이 들어 있다는 말이다. 마음을 비우고, 자신을 돌아보는 참선을 하고, 화두를 찾아 수행을 하다보면 이 세상이 각각의 생명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덩어리라는 것을 깨달을 수 있으니 늘 마음을 다스리는 습관을 들이도록 권한다. 그리고 욕심과 집착을 털어낸 곳에 마음자리가 있다는 것, 이 세상 모든 것은 연결돼 있으며 자연과 나, 너와 내가 둘이 아니라는 것, 분별하지 말고 상(相)을 내지 말아야 한다는 것, 물질적으로 풍요롭고 부유한 환경보다는 춥고 배고플 때 공부가 더 잘된다는 것, 공부는 젊은 시절에 해야 한다는 것, 끊임없이 하심(下心)해야 한다는 것 등도 우리가 한 번쯤은 돌아봐야 할 지혜이다.
불기 2546년을 기념한 또 하나의 역작
부처님 오신 날이 될 때쯤이면 많은 사람들이 탐욕과 무지의 시간을 끝내고 화합과 평화의 시간을 염원하며 봉축식을 준비한다. 그리고 다시 한번 부처님과 이웃에 대해 참회하며 새롭게 태어나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아 연등을 달고, 불경을 읽는다. 은행나무 출판사에서는 불기 2546년 부처님 오신 날에 즈음하여 우리 시대 대표적인 스승으로 추앙받고 있는 큰스님 33인의 이야기를 엮은 『산중에서 길을 물었더니』를 펴냈다. 세속의 욕심과 부정이 사람들의 마음을 혼탁하게 만들고 있는 이때, 산중 대선사들의 청빈과 무욕청정의 삶이 캄캄한 밤중에 한줄기 큰 빛이 되리라 믿는다.
살아 있는 선지식 33인을 한 권에서 다 만날 수 있다
은행나무 출판사의 『산중에서 길을 물었더니』는 현재 불교계나 학술계에서 명망을 떨치고 있는 선지식 33인을 한 곳에 모았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하겠다. 경남 함양군 안의면의 황대마을에 선원을 세워 대중들을 지도하고 있는 성수 스님에서부터 현 조계종 종정인 법전 스님, 전 종정 서암 스님, 그리고 살아 있는 3대 부처로 불리는 숭산 스님, 계룡산 국제선원 무상사에서 외국인 납자들을 지도하는 벽안(碧眼)의 미국인 대봉 스님까지, 그야말로 이름만 대도 알 수 있는 큰스님들이 자신의 생각을 직접 이야기하고 오늘의 시대를 지혜롭게 살아가는 방법에 대해서 설파했다.
너무나 다르면서도 하나인 서른세 분의 큰스님
이 책에 소개되는 서른세 분의 큰스님들은 모두 제각각이다. 세인의 좁은 안목으로 가름하자면 선승도 있고 학승도 있다. 견성(見性)을 했다는 분도 있고, 그렇지 않은 분도 있다. 선에 대해서도 조사선, 화두선만이 깨달음에 이를 수 있는 길이라는 분이 있는가 하면, 염불이나 주력, 간경, 관법 등 다른 방편도 충분히 유효한 길이라는 분도 적지 않다. 그러나 이런 이견(異見)과 차이는 중요하지 않다. 누가 옳은지 판단할 처지도 아니다. 다만 선지식들이 치열한 구도행과 실천적 삶을 통해 체득한 지혜를 듣고자 할 뿐이다. 성수 스님은 “사서삼경으로 모자라고, 팔만대장경으로 부족해서 나라가 망하는 게 아니며, 정신을 모르고 살면 전부 죽는 길”이라며 “자기 목을 뚝 떼어 나무에 걸어놓고 덤비는 용기와 기백으로 공부하라”고 했다. 출가 이후 하루에 점심 한 끼만 먹는 일중식(日中食)과 장좌불와(長坐不臥)를 실천하고 있는 청화 스님은 “남의 눈에는 고통으로 보일지 모르나 내게는 가장 행복하고 편한 생활”이라고 했다. 참으로 해보지 않고서는 알 수 없는 경지다.
올해 아흔이 된 서옹 스님은 진제 스님과 더불어 활발발(活潑潑)한 선(禪)의 세계를 열어 보인다. 진제 스님은 “참된 선지식이란, 학인을 지도할 때 만 사람을 죽이기도 하고 살리기도 하는 살활(殺活)의 검을 자재하게 쓸 줄 알아야 한다”며 “묻는 말에 척척 답을 해줘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런가 하면 백수(白壽)를 바라보는 고송 스님은 “인생은 눈 깜빡하면 지나가는 찰나간이요 호흡지간(呼吸之間)”이라며 “세월가면 늙고 버려야 할 몸뚱이보다는 늙지 않고 죽지도 않는 마음을 궁구하라”고 촉구한다. 생활 속에서 살려야 할 지혜도 많다. 무욕(無慾), 하심(下心), 무소유(無所有), 이웃에 대한 배려……. 고송 스님은 “인욕(忍辱)하면 장수한다”고 했고, 인허 스님은 행자 생활을 통해 하심을 배웠다고 했다. 고산 스님은 “베풀면 마음이 즐거워진다”며 자비의 실천을 강조했고, 지종 스님은 “불법은 언행이 일치돼야 한다”며 실천의 중요성을 되새긴다. 또 법흥 스님은 “지옥과 천당은 내 마음에 달린 것이니 자작자수(自作自收)”라고 했으며, 동춘 스님은 “스트레스도 집착에서 온다”고 했다. 노승들이 들려주는 행자 시절이나 젊은 시절 이야기도 재미있다.
범룡 스님은 겨울철 한밤중에 어른들 몰래 밤참을 해먹던 재미가 생각난다고 했고, 인허 스님은 행자 시절 공양간에서 아궁이에 불을 때면서 부지깽이로 박자를 맞추며 경전을 외우던 때가 가장 기억에 남는다고 했다. 금강산의 마하연, 유점사, 신계사는 물론 묘향산 보현사와 만주 일대까지 답파했다는 고송 스님의 이야기는 전설의 한 부분처럼 아련하다. 큰스님들에게 “깨쳤느냐”고 방자(?)하게 묻는 부분도 있는데, 대답도 각각 다르다. “참선을 통해 이른 견처(見處)가 어디냐”는 질문에 원담 스님은 “못 봤어, 한 물건도 못 봤어”라고 했다. 한 물건도 볼 수 없는 곳을 찾는 것이 참선이라는 설명이다. 또 범룡 스님은 “참선을 오래 해도 견성은 안 되더라”며 “다만 삼매에는 들어봤는데 그때서야 불법(佛法)이 좋은 줄 알겠더라”고 했다. 큰스님들의 자비롭고 천진함을 볼 수 있는 점도 좋다. 성수 스님은 인터뷰가 길어지자 “허, 이놈이 내 재산 다 뺏어간다”면서도 지혜를 나눠주는 데 주저하지 않았고, 원담 스님은 시자가 부축하느라 팔짱을 낄라 치면 “아야, 아야야”라며 짐짓 엄살(?)을 떨어 주위 사람들을 즐겁게 했다. 반면 우룡 스님은 처음 전화로 찾아뵙기를 청하자 매몰차게 거절했는데, 나중에 알고 보니 “큰스님”이라고 부른 게 화근이었다. 스님이면 스님이지 큰스님, 작은스님이 어디 있느냐는 이야기다
서른세 분의 가르침이 사진과 함께 한 권에
『산중에서 길을 물었더니』는 서른세 분의 가르침과 수행과정을 정리해서 사진과 함께 실었다. 스님들의 생생한 사진과 함께 이야기를 읽어나가다 보면 마치 스님이 옆에서 죽비로 나를 내려치는 느낌이 든다. 그럼 순간 내가 얼마나 속되게 살았는지, 내가 얼마나 이기적이었는지를 돌아보게 되어 한편으로는 부끄러워지고 또 한편으로는 아, 이제부터라도 달라져야겠구나라는 생각이 된다. 흔히 요즘을 선지식을 찾아보기 어려운 시대라고 한다. 우리 사회에 어른이 없느니, 참된 지도자가 없느니, 등불 같은 스승이 없느니 하는 탄식과 걱정의 소리도 들린다. 하지만 정작 우리 자신이 그런 어른과 스승을 모실 준비와 자세가 결여된 것은 아닐까. 옛말에 “삼인행(三人行)이면 필유아사(必有我師)”라고 했다. 스승을 찾아 나서지도, 좋은 행동을 본받지도 않으면서 스승이 없다고 하는 건 온당치 않다.
『산중에서 길을 물었더니』에서 소개하고 있는 서른세 분의 가르침에 귀 기울여 나를 돌아볼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다면 당장의 어려움이 미래를 위한 하나의 발판으로 여겨질 수 있으리라 믿는다.

<목차>
성수 스님 … 산은 갈수록 높고 물은 갈수록 깊어서·016
서암 스님 … 천하에 쉬운 것이 바른 이치·026
법전 스님 … 자성(自性)을 깨치면 그게 바로 천당이요 극락·038
숭산 스님 … 부처도 죽이고 조사도 죽이는 게 선·048
동춘 스님 … 선악이 모두 불법(佛法)이요 나의 스승이라·058
청화 스님 … 생명의 본질 자리를 찾아야·068
인허 스님 … 무욕, 무소유 그리고 끝없는 하심·080
고산 스님 … 부지런하면 천하에 어려운 일이 없다·090
월운 스님 … 높은 산봉우리에서 산 아래를 보라·102
범룡 스님 … 화엄경의 큰뜻이 마음 심(心) 자 하나에·110
원담 스님 … 자기 마음자리가 부처이니·120
천룡 스님 … 자기 그릇을 키워라·132
원명 스님 … 마음을 비우면 다 부처님·142
고송 스님 … 내 마음에 부끄럽지 않게 사는 것이 잘사는 길·152
활안 스님 … 희망도, 고통도, 행복도 원인은 나에게 있으니·160
원응 스님 … 사람의 본래 성품은 바다같이 넓어·170
우룡 스님 … 집에 있는 부처님을 잘 섬기라·180
지관 스님 … 사심 없이 맑고 투명하게 살라·190
석주 스님 … 자비로 집을 삼고 참는 것으로 옷을 삼으라·200
서옹 스님 … 닫고 나면 모든 것이 다 좋게 보인다·210
범행 스님 … 몸은 먼지 덩어리, 마음은 바람 같은 것·222
호명 스님 … 겉모습을 보지 말고 마음의 달(心月)을 보라·232
광우 스님 … 천지가 나와 한 뿌리요 만물이 나와 한 몸이니·242
보각 스님 … 마음을 잘 알고 잘 써야·252
청소 스님 … 진인(眞人), 도인(道人)이란 바르게 사는 사람·260
혜산 스님 … 내생은 먼 훗날의 일이 아니고 바로 내일·270
법흥 스님 … 걸림 없이 살 줄 알라·280
법공 스님 … 사람 노릇을 해야 참사람·290
종성 스님 … 푸른 산은 예와 같이 진실한 모습이니·300
진제 스님 … 흐르는 물처럼 화두가 끊이지 않아야·312
정무 스님 … 은혜를 알고 은혜를 갚는 사람이 돼라·322
지종 스님 … 지옥이고 천당이고 중생이고 부처고 전부 우리 마음에서 나온다·332
대봉 스님 … 오직 모를 뿐(Only don? know·不識)·342

작가 소개

서화동 지음

서화동-불교재단의 중학교와 침례교 재단의 고등학교를 거쳐 서울대 사회복지학과를 나왔으며, 군복무 시절에는 잿밥에 마음을 두고 법당에 다닌 적도 있다. 「경향신문」을 거쳐 현재, 「한국경제신문」 문화부에서 종교담당 기자로 일하고 있다.

표지/보도자료 다운로드
미디어 서평
[책마을] 고승 33인이 들려주는 삶의 가르침
출처: 조선일보

기사의 원문은 위의 원문보기 또는 아래의 주소를 클릭하시면 보실 수 있습니다.


기사원문 URL =>http://books.chosun.com/site/data/html_dir/2002/05/17/2002051755229.html

법전, 서암 등 큰스님 33인의 가르침
출처: 서울경제신문
법전, 서암 등 큰스님 33인의 가르침

세상이 어지럽다. 대통령 세 아들이 비리사건에 연루되는가 하면, 카드 빚 700만원 때문에 6명의 여성을 연쇄살인하는 끔찍한 일이 벌어지고 있다. 모두 헛된 욕심 때문이다. 불기 2546년 석가탄신일이 이틀 지났다. 몸과 마음을 무겁게 짓누르는 욕심을 덜어내는 계기가 되었는지 궁금하다.

이 시대의 큰 스님 33인의 가르침을 담은 책 [산중에서 길을 물었더니]는 무욕(無慾), 하심(下心), 무소유 등 소중한 삶의 지혜들을 일깨워 준다.

저자는 한국경제신문 종교담당 기자인 서화동씨. 조계정 종정인 법전스님, 전 종정 서암스님, \\\"살아있는 3대 부처\\\"로 꼽히는 숭산스님, 계룡산 무상사의 미국인 승려 대봉 스님 등은 인터뷰를 통해 무욕의 삶을 설법한다. 법전 스님은 \\\"인간은 누구나 무명과 탐욕으로 자기를 잃고 있다\\\"고 개탄하면서 \\\"무명과 탐욕에서 자각의 눈을 떠 얽매임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말한다. 서암스님 역시 \\\"도둑질 같은 나쁜 짓도 결국은 욕망에서 비롯되는 것이니, 욕망을 털어버리면 모든 게 환해진다\\\"며 욕심을 덜어내는 미덕을 강조한다.


2002년 5월 21일 화요일
/ 서울경제신문
큰스님 33분 가르침 \\\"쩌렁쩌렁\\\"
출처: 한겨레신문
큰스님 33분 가르침 \\\"쩌렁쩌렁\\\"

한여름 무더위 속에 부는 바람과 샘물이 이만큼 시원할 수 있을까. 집착과 고통 속을 유영하는 중생의 꿈을 깨기 위해 내려치는 큰스님들의 죽비는 아프기보다는 오히려 온 몸과 마음을 시원하게 한다. 한국경제신문에서 종교를 맡고 있는 서화동 기자가 불교계에서 존경받는 스님 등 33명을 인터뷰한 이 책은 큰스님들을 직접 뵙는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킬 만큼 현장의 언어를 생생히 전달하고 있다.

\\\"행복도 불행도 마음 먹기 달린 것\\\"이라는 큰스님들의 가르침도 가르침이지만, \\\"아직도 번뇌의 뿌리가 뽑히려면 천리 만리\\\"라는 청화 스님, \\\"견성은 못하고 삼매는 들어보았다\\\"는 범룡 스님, 멀쩡한 집을 허물지 못하게 한 원명 스님 등의 겸허한 삶의 자세가 큰 울림으로 다가온다. 이전투구로 가득한 정치권 등 세상을 향해 \\\"참 우스운 물건\\\"이라는 서암 스님, \\\"복짓기 경쟁을 해도 시원찮은데, 복털기 경쟁을 한다\\\"는 우룡 스님이 채찍이 매섭다



2002년 5월 21일 화요일
조연현 / 한겨레신문
33명의 고승들 삶의 지혜 설파
출처: 중앙일보
33명의 고승들 삶의 지혜 설파

러시아인으로 한국에 귀화한 박노자 오슬로국립대 교수가 최근 \\\"한국 불교가 참선(參禪)에 치우쳐 중생의 고통을 외면하고 있다\\\"고 지적해 논란을 불러일으켰지만, 한국 불교의 핵심은 누가 뭐래도 수행이다.

무소유의 정신으로, 오로지 산중에 묻혀 깨달음 하나를 위해 용맹정진하는 스님들이 간간이 전해주는 법문들이 정신적 공황을 겪는 현대인들에게는 더 간절하다. 물론 산을 찾아 고승의 법문을 들을 수도 있지만 생활에 쫓기다 보면 그 또한 마음처럼 쉽지 않다.

그렇다면 한국경제신문 종교담당 기자 서화동씨가 우리 시대의 선지식 33명의 가르침을 담은 [산중에서 길을 물었더니](은행나무)를 펼쳐 보라.

오묘한 불법(佛法)의 세계를 기자 특유의 현학적이지 않고 쉬운 표현으로 풀어낸 책이어서 인생을 고민하는 대중이 있다면 길잡이가 되기에 충분하다.조계종 종정인 법전 스님과 경남 함양 황대선원의 조실 성수 스님, 문경 봉암사 조실인 서암 스님, 서울 화계사 조실인 숭산 스님 등을 하루 한명씩 읽으면 한달간 마음의 평화가 보장된다.

\\\"산은 갈수록 높고 물은 갈수록 깊어서\\\"\\\"천하에 쉬운 것이 바른 이치\\\"\\\"자성(自性)을 깨치면 그게 바로 천당이요 극락\\\"\\\"자기 그릇을 키워라\\\" 등 지혜의 말씀들이 가득하다.


2002년 6월 4일 화요일
/ 중앙일보
`老스님이 들려주는 삶의 지혜`
출처: 한국경제신문

기사의 원문은 위의 원문보기 또는 아래의 주소를 클릭하시면 보실 수 있습니다.


기사원문 URL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02062481441&intype=1

내마음 속으로 떠나는 여행
출처: 조선일보
내마음 속으로 떠나는 여행

마음 속에 암자 하나를 세우고 청풍 부는 산을 병풍처럼 둘러치자. 솔바람 부는 그 숲속 암자에 33인의 스승을 초대해 말씀을 듣는다. 이보다 더한 피서법이 어디 있겠는가. 저자는 법전 서옹 서암 숭산 스님 등 선승과, 지관 월운 스님 등 학승, 비구니인 광우 보각 스님, 외국인 승려 대봉 스님 등을 인터뷰하고 그들의 수행과정 이야기며 가르침들을 옮겨 적었다. 말의 청량은 청량 음료를 넘어선다.



2002년 7월 20일 토요일
김태훈 / 조선일보
[책마을] 내 마음 속으로 떠나는 여행
출처: 조선일보

기사의 원문은 위의 원문보기 또는 아래의 주소를 클릭하시면 보실 수 있습니다.


기사원문 URL =>http://books.chosun.com/site/data/html_dir/2002/07/19/2002071955220.html

독자 리뷰

독자 리뷰 남기기

8 +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