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의 삶을 그리는 화가

은행나무 위대한 생각 05

샤를 보들레르, 정혜용 , 양효실

브랜드 은행나무 | 발행일 2014년 4월 16일 | ISBN 9788956607689

사양 변형판 140x210 · 184쪽 | 가격 11,000원

시리즈 은행나무 위대한 생각 5 | 분야 비소설, 종교/역사

책소개

“모든 시대는 그 자신의 예술을 요청한다”

대중문화와 고급문화의 경계를 허문 선구적 통찰

표제작 <현대의 삶을 그리는 화가>는 보들레르를 평생 사로잡았던 현대적 삶과 예술의 관계에 대한 에세이다. 이 글의 주인공 기스는 삽화가이자 풍속화가로 거리의 군중 한가운데 기꺼이 뛰어드는 ‘세상 속의 인간’이다, 반면 다음 에세이의 주인공, ‘고대와 현대를 통틀어 가장 독창적인 화가’ 들라크루아는 대중을 혐오하는 천재이다. 이처럼 대조적인 두 예술가의 초상은, 나란히 놓이면서 영원함과 덧없음이라는 예술의 모순적 본질을 드러낸다.

 

삶이란 예술의 원료일 뿐이다

19세기 파리는 경제적․문화적으로 엄청난 호황을 누렸다. 대량생산된 상품이 넘쳐나는 백화점과 부르주아들이 부(富)를 자랑하는 거리를 배경으로 새로운 예술이 등장하고 있었다. 그리스‧로마 미술을 번지르르하게 모방한 신고전주의로 대표되던 부르주아의 미적 관념을 거부하고 현대의 일상을 솔직하게 재현한 이런 예술을 보들레르는 ‘현대’ 예술이라고 부르며, 기스는 이 예술의 거장이다. 이는 자연주의와는 다른데, 보들레르는 예술가의 상상력으로 ‘교정’되지 않은 자연을 경멸했기 때문이다.

 

대기가 새의 활동영역이고 물이 물고기의 활동영역이듯, 군중은 그의 활동영역이다. 그의 열정과 그의 직업, 그것은 군중 속에 몸을 섞는 것이다. 자기 집을 벗어나 있기, 하지만 어디서든 자기 집인 양 느끼기. 세상을 바라보기, 세상 한가운데 있으면서 세상 속에 숨어 있기. … 관찰자는 여기저기에서 자신의 익명성을 즐기는 군주다. … 일반의 삶을 사랑하는 사람은 거대한 전기 에너지 저장소로 들어가듯 군중 속으로 들어간다. 우리는 또한 그 사람을 이 군중만큼이나 거대한 거울에 빗댈 수 있다. 그리고 자신이 움직일 때마다 다양한 모습의 삶을, 삶의 온갖 요소들의 끊임없이 변화하는 우아함을 비춰주는, 인지력을 갖춘 만화경에다가도.  -《현대의 삶을 그리는 화가》 25~26쪽

 

과거에 예술의 임무는 아름다움을 정확하고 완벽하게 드러내는 것이었다. 그러나 더 이상 객관적 아름다움이 존재하지 않는 현대에 아름다움은 예술가를 통해서만 존재하는 주관적 창조물이 되었다. 예술가는 역사 속에서 유행이 담아내는 시적인 그 무엇을 끌어내야 한다. 세상의 ‘영원한 덧없음’을 재현할 수 있는 한 예술은 자연보다 아름답다. 예술이 아름답다면 삶이 아름다워서가 아니라 예술가의 미적 능력 때문이며, 그것이 예술가가 현대라는 ‘폐허’를 살아가는 유일한 방법이다.

 

예술의 덧없음과 영원함을 위하여

<현대의 삶을 그리는 화가>에 묘사된 19세기 여성들은 터무니없이 큰 리본과 어색하게 든 부채 등 유행을 좇은 옷차림으로 거리를 활보하며 남자들을 곁눈질한다. 그런데 한편, 이들은 당대의 그 어떤 예술작품보다도 동시대적으로 느껴진다. 안나 카레니나 같은 명작소설의 히로인이 현대로 옮겼을 때 패션 화보의 여배우와 같다면, 우스꽝스러우면서도 친숙한 이 여성들은 SNS의 사진 속 우리들 모습 같다.

 

재단사가 만들어준 우아한 의상을 걸치고 이발사가 다듬어준 머리를 한 얼간이들 가운데 한 명이, 안팎으로 환히 밝힌 유리창에 기댄 채 카페 문간에 나와 있다. 그의 곁에는 정부가 요긴한 발받침 위에 두 발을 올려놓은 채 앉아 있는데, 이 여인은 행실은 나쁘지만 귀부인처럼 보이기에는 부족한 게 거의 없다. … 이 두 존재는 아무런 생각도 하지 않는다. 뭔가를 보고는 있는 걸까? 어리석음의 나르시스인 그들이, 자신들의 이미지를 반사하는 강물처럼 흘러가는 군중을 지켜보고 있는 것이 아니라면 말이다. 사실, 그들은 자기 자신의 쾌감보다는 관찰자의 쾌감을 위해 존재한다.  -《현대의 삶을 그리는 화가》 75~76쪽

 

<현대의 삶을 그리는 화가>는 시시하고 하찮은, 그러나 영원한 존재들에 바쳐진 화려한 수식이다. 보들레르는 들라크루아를 동경했으나 사실상 기스에 더 가까웠다. 그는 부르주아를 혐오하고 조롱했지만, 그들이 자신의 주된 독자라는 사실도 잘 알고 있었다. 예술이 더 이상 아름다움의 재현이 아닌 시대에 예술가의 새로운 역할을 성찰한 이 글로써, 그는 포스트모더니즘이 도래하기 백 년도 더 이전에 고급예술과 대중예술의 경계를 허문 선구자가 되었다. 바야흐로 대중문화가 소위 순수예술보다 각광받게 된 지금, 진정 ‘현대의 삶을 그리는’ 예술가는 누구일까? 대답은 우리들의 몫으로 남겨질 것이다.

—–

오늘의 독자를 위한 살아 있는 고전,

《은행나무 위대한 생각》

 

국내 최초로 선보이는 고전 논픽션 시리즈

은행나무 출판사에서 내놓는 《위대한 생각》은 국내 최초의 ‘고전 논픽션’ 시리즈이다. 문학, 예술, 철학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거장들의 치열한 삶, 솔직한 감정, 특별한 사유가 담긴 저술들을 소개한다. 지나치게 전문적이거나 난해한 내용은 지양하고, 광범위한 독자의 흥미를 살 수 있는 작품들로 구성된다. 저자의 삶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는 작품을 우선 채택하므로, 해당 저자에 입문하려는 독자에게도 추천할 만하다. 게다가 국내에 번역된 적이 없거나 부분 번역, 혹은 이미 절판된 작품 위주로 엄선하여 고전 애독자라면 놓칠 수 없는 시리즈가 될 것이다. 또한 전공자와 전문 번역자 들이 번역에 참여하여 유려한 텍스트는 물론 해설과 도판 등 작품을 깊이 이해할 수 있는 보충 자료도 제공한다. 논픽션의 특성상 읽다 보면 당대 정치‧경제‧문화에 대한 풍부한 배경지식도 자연히 얻게 된다.

 

낯익은 거장의 숨겨진 걸작을 만나다

프루스트를 처음으로 읽어보려고 하는데 가장 쉽고 재미있는 작품은 무엇일까? 평범한 소설가였던 졸라를 ‘행동하는 양심’의 표상으로 남긴 ‘나는 고발한다…!’는 어떻게 쓰였을까? 영국의 국민 작가 디킨스는 저널리스트로 먼저 유명해졌다는데 그가 쓴 잡지 기사들은 과연 어땠을까? 고전문학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귀가 솔깃할 얘기들이다. 프루스트는 ‘소설가’, 보들레르는 ‘시인’이라는 생각은 고정관념일 뿐이다. 지금까지 거장들의 일면만 알아온 독자는 《위대한 생각》을 통해 그들의 새로운 면모, 새로운 목소리를 접할 것이다.

 

고전문학과 인문교양 독자 모두를 만족시킬 선택

《위대한 생각》은 매번 새롭게 읽히는, 지속성과 현재성을 모두 갖춘 시리즈를 지향한다. 보들레르는 150년 전에 일찍이 예술의 현대성은 아름다움만 가지고 평가할 수 없으며, 순수예술과 대중문화가 동등한 지위와 가치를 지녔음을 통찰하였다. ‘미국 철학의 아버지’ 에머슨의 글은 지금 서점에서 찾을 수 있는 그 어떤 자기계발서보다도 명쾌한 처세론을 담고 있다. 디킨스와 졸라의 에세이는 지금 여기에도 여전히 존재하는 정치적‧경제적 문제들을 좀더 넓은 시각으로 고민하게 한다. 시공간을 뛰어넘는 거장의 통찰은 오늘날 우리의 새로운 통찰을 부르고, 그들과 우리의 부단한 대화로 이어진다. 현대에도 시의성 있는 주제, 그리고 검증된 저자의 뛰어난 문장을 겸비한 《위대한 생각》은 고전문학과 인문교양 독자 모두를 만족시킬 시리즈이다.

목차

현대의 삶을 그리는 화가
들라크루아의 삶과 작품

옮긴이의 글
작품해설 – 기스와 들라크루아 : 현대적 삶의 화가와 위대한 화가

작가 소개

샤를 보들레르

(1821~1867)
프랑스의 낭만주의 시인이자 평론가. 대표작인 시집 《악의 꽃》(1852), 《파리의 우울》(1869, 사후 출간), 《벌거벗은 내 마음》(1897, 사후 출간) 등으로 근대화‧산업화된 파리의 새로운 미의식을 구현하여 베를렌, 랭보, 말라르메를 위시한 다음 세대 프랑스 시인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또한 평론가로서 그가 정의한 ‘댄디’와 ‘현대성’, ‘소요객’ 등의 개념은 발터 벤야민, 미셸 푸코와 같은 후세대 이론가들에게 중요한 영향을 끼쳤다. 여러 편의 미술평론을 통해 낭만주의 화가와 풍자 화가들을 지지했으며, 미국 시인 에드거 앨런 포의 작품들을 프랑스어로 최초로 번역, 소개하기도 했다.

정혜용

서울대학교 불어불문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파리3대학 통번역대학원 (E.S.I.T.) 에서 번역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번역출판기획네트워크 ‘사이에’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 《번역 논쟁》이 있고, 역서로 마리즈 콩데《나, 티투바, 세일럼의 검은 마녀》, 샤를 보들레르 《현대의 삶을 그리는 화가》, 기 드 모파상 《삐에르와 장》 《비곗덩어리》, 레몽 크노 《지하철 소녀 쟈지》 《연푸른 꽃》, 아니 에르노 《한 여자》, 발레리 라르보 《성 히에로니무스의 가호 아래》 《페르미나 마르케스》, 마일리스 드케랑갈 《식탁의 길》 《살아 있는 자를 수선하기》, 에두아르 루이 《에디의 끝》 등이 있다.

양효실

서울대학교 미학과에서 <보들레르의 모더니티 개념에 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고 서울대학교, 홍익대학교, 단국대학교 등에서 강의를 하고 있다. 역서로 주디스 버틀러의 《불확실한 삶》, 《윤리적 폭력 비판》 등이 있으며, 다수의 논문을 썼다. 저서로 《20세기 문화운동》(근간)을 준비 중이다.

표지/보도자료 다운로드
독자 리뷰

독자 리뷰 남기기

6 +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