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인의 젊은 소설가가 그려내는 ‘이별’의 순간들

서로의 나라에서

지음 김유담, 박사랑, 박서련, 박소희, 송지현, 양동혁, 우다영, 정영수

브랜드 은행나무 | 발행일 2018년 4월 11일 | ISBN 9791188810178

사양 변형판 130x205 · 324쪽 | 가격 5,900원

분야 국내소설

젊은작가 앤솔러지 소설집

책소개

우리의 단단하고 따뜻한 관계는 어떻게 끝이 났나
8인의 젊은 소설가가 그려내는 이별의 순간들

한국 문학의 가장 젊은 소설을 만나다
이별에 대처하는 조금 덜 외롭고, 조금 더 즐거운 방법

지난한 겨울과 이별한 뒤 봄을 맞듯, 따뜻한 봄볕을 떠나보낸 자리에 여름의 열기가 들어찬다. 다양한 이별의 감정을 응축하여 잘 벼린 여덟 편의 이야기로 만나는 일은 그래서 계절을 보내고 일상을 살아가는 일에 닿아 있다. ‘하루하루가 작별의 나날’인 삶의 미학을 김유담, 박사랑, 박서련, 박소희, 송지현, 양동혁, 우다영, 정영수 등 8인의 소설가가 《서로의 나라에서》에서 저마다의 개성으로 펼쳐낸다. ‘이별’이라는 키워드로 삶과 죽음, 시간과 공간, 희극과 비극을 넘나드는 이야기들을 읽다 보면 어느덧 매일 이별하면서 살아가는 일상을 조금 더 긍정할 수 있게 된다. 등단 5년차 미만, 35세 이하 젊은 작가들이 독자와의 ‘첫 만남’을 위해 모였다. 시집 《좋아하는 것을 함부로 말하고 싶을 때》와 소설집 《서로의 나라에서》는 지난 한 해 동안 7인의 시인과 8인의 소설가가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지원을 받아 함께 기획하고 각자 써 내려간 결과물이다. 그리하여 ‘만남’과 ‘이별’이라는 테마로 ‘따로 또 같이’ 저마다의 개성을 책에 담았다. 2018년 봄 ‘시로 만나고 소설로 이별하며’ 반짝이는 감각과 신선한 사유로 무장한 젊은 작가들의 첫걸음에 함께해주시길 바란다.

어쩌면 이별을 주제로 소설을 쓴다는 건 조금 이상한 말일지도 모르겠다. 사실은 이미 모든 소설가가 이별에 대해 쓰고 있지 않나, 문학 작품 속에 등장하는 수많은 죽음과 사랑의 이야기들은 결국 이별에 대해 말하고 있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기 때문이다. 그건 아마 소설이라는 건 기본적으로 한 인간의 변화를 다룬 것이라는 오랜 주장과 관련이 있을 듯하다. 만남 또한 사람을 변화시키지만, 그보다 더 크게 사람을 변하게 하는 건 이별일 테니까. _정영수, ‘여는 글’에서

그때 다른 길로 갔다면 지금 그 사람과 함께할 수 있었을까요?”
이별 중이거나 이별한 사람들을 위한 위로와 공감의 단편들

《서로의 나라에서》에 등장하는 ‘나’들은 이별을 준비하거나 이별 중이거나 이별 이후를 견디고 있다. 독자들은 다양한 이별의 양상을 통해 지나온 시절, 앞으로 겪어내야 할 순간, 혹은 상실의 아픔으로 생겨난 마음속 폐허를 들여다보며 공감하거나 대비하거나 위로받게 된다. 여덟 편의 이야기처럼 이별의 순간은 저마다 다르고 그만큼 특별하기 때문이다. 다만 책장을 넘기며 때때로 묻게 된다. “그때 다른 길로 갔다면 지금 그 사람과 함께할 수 있었을까요?”(우다영, <밤의 징조와 연인들>)라고.

김유담_<공설 운동장>
휴학 이후 고향에 돌아온 나는 좁디좁은 밀양 바닥을 떠나기만 하면 근사한 미래가 그려질 거라 믿었던 나의 열일곱을 따뜻하게 기억해준 L과 연애를 시작한다. 아버지의 사업 실패 이후 가세가 기울어 버티는 삶 속에서 조금씩 닳아가는 가족들을 지켜보는 일은 힘겹기만 하다. 매일 아침 함께 공설 운동장을 달리지만 정해진 트랙을 완주하는 삶에 만족하는 L과 고향을 떠나 소설을 쓰고자 하는 나 사이는 점점 벌어져간다.

박사랑_<방갈로, 1996>
1996년 여름, 아빠는 사업을 말아먹었다. 나는 수시로 집에 들이닥치는 빚쟁이들을 상대하다가 여름방학이 되어 해수욕장으로 떠난다. 아빠는 실직자가 된 이모와 이모의 남자 친구, 그리고 삼촌을 불러 모아 해수욕장 원정대를 꾸리고, 그곳에서 가게를 운영하지만 장사에 별 열의가 없다. 특히 주동자인 아빠는 틈만 나면 바다가 침대라도 되는 양 드러누워 있다. 느긋한 여름날의 풍경 속에서 ‘방갈로 베이비’의 기원에 눈뜨게 된 시절에 대한 회고담.

박서련_<오직 운전하는 이들만이 살아남는다>
알 수 없는 바이러스의 전파로 쑥대밭이 된 서울에서 탈출해 강원도로 향하는 여자. 오직 전진만을 반복하고 방해당할 경우 폭주하는 감염자들을 피해 식량과 잠자리를 마련해야 하는 하루하루가 버겁지만 어쨌든 차가 있어 지금껏 살아남았다. 어느 날 밤 낯선 노크 소리 뒤에 나타난 남자애는 데려가 달라고 애원하는 주제에 운전도 못 한단다. 기묘한 동행에서 이들이 만난 세상의 끝은?

박소희_<기록_떨어지는 사람들>
귀, 코, 입술, 손가락, 손목, 팔, 가슴…… 온갖 부위가 예고도 없이 떨어지는 급성 신체탈락 현상이 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인류는 패닉에 빠진다. 원인조차 미궁인 상태에서 몸을 잃은 발병자들이 속출하며 갖가지 사회 문제가 대두된다. 분리된 신체 부위는 사체인가, 쓰레기인가. 발병자들이 처한 고통은 개인적인 것인가, 사회적인 것인가. 국가는 이 재난 상황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가. 2018년부터 2027년까지 한국의 급성 신체탈락 현상에 관한 기록.

송지현_<커튼콜, 한 번 더 박수>
도대체 큰아빠는 왜 말없이 식탁 밑에 누워 있었을까. 내내 나를 잠식했던 의문 때문에 뇌호흡 센터를 찾았고 그곳에서 긴과 갱을 만났다. 두 사람 역시 공중 부양과 텔레파시라는 각자의 필요로 함께 수련에 매진한다. 예언서에 기록된 종말의 날, 각자의 사연을 품은 세 사람은 그 방으로 모여든다.

양동혁_<안녕, 이별>
나는 백만 번의 삶을 살았다. 그리고 바로 오늘, 세상의 끝에서 그녀와 만났다. 지난 구십구만 번의 삶에서 공주와 앵무새, 어릿광대와 관객, 싱어송라이터와 마법사로 만난 그녀를 사랑한 덕분에 저주받은 생을 이어왔다. 단 한 번 사랑받았던 기억으로 백만 번의 삶을 버텼지만 이제는 모든 이야기에 마침표를 찍고자 한다. 바로 오늘이 이 ‘별’의 마지막 날이기 때문이다.

우다영_<밤의 징조와 연인들>
지난여름부터 이듬해 여름까지 다섯 번의 계절을 거치는 동안 석이와 나는 어떻게 만나서 얼마나 깊어졌는가. 나의 모든 것을 알려주고 너의 모든 것을 알아가던 우리의 단단하고 따뜻한 관계는 어떻게 끝이 났나. 무수한 삶의 신비와 영혼의 탐구를 통해 ‘연애담’이라는 흔한 표현 속에 가리어진 너와 나의 순간들을 그려낸다.

정영수_<서로의 나라에서>
스무 살 무렵 우연한 만남을 통해 짧은 기간 가깝게 지낸 조아현은 지금 베들레헴에 있다. 나는 SNS를 통해 그녀의 궤적을 속속들이 파악하고 있지만 피상적인 정보일 뿐 그녀가 어떤 사람이 되었는지 알 도리가 없다. 그럼에도 퇴사 후 충동적으로 이스라엘로 떠나면서 10년 만에 그녀와 재회하게 되는데……

상실과 희망 사이에서의 견딤,
이별에 대처하는 젊은 소설가들의 방식

《서로의 나라에서》 속 인물들은 아픈 이별 앞에서 너를 만나지 않았고 너를 모르는 채로 살아가는 내가 우주 어딘가에 살고 있진 않을까 자조하지만, 동시에 그렇게 된다면 남아 있는 똑같은 날들을 그저 살아내게 되리라고 고백한다. 짧은 입맞춤의 순간을 위해 무수한 이별을 참아내고, 그렇게 이별을 견디는 다른 자세를 찾다가 어느덧 전혀 다른 몸이 되기도 한다.

이별은 필연적으로 상실을 수반하지만, 또한 새로운 희망을 품고 있기도 하다. 그래서 이별이라는 단어가 마냥 슬프거나 아득하게만 들리지 않을 수 있는 것 같다. ―‘여는 글’에서

독자들이 치열하게 이별의 순간을 살아가고 있는 《서로의 나라에서》 속 인물들을 통해 조금 덜 외롭고 조금 더 즐겁게 이별에 대처할 수 있기를 바란다. 그 뒤 한 뼘 더 달라졌을 나를 긍정하며……

목차

여는 글 / 그래도 안녕은 안녕이니까 …… 4

김유담 / 공설 운동장 / …… 9
박사랑 / 방갈로, 1996 / …… 45
박서련 / 오직 운전하는 이들만이 살아남는다 …… 75
박소희 / 기록_떨어지는 사람들 …… 117
송지현 / 커튼콜, 한 번 더 박수 …… 151
양동혁 / 안녕, 이별 …… 179
우다영 / 밤의 징조와 연인들 …… 205
정영수 / 서로의 나라에서 …… 297

작가 소개

김유담 지음

1983년 부산에서 태어나 경남 밀양에서 성장했다. 2016년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핀 캐리>로 등단했다.

박사랑 지음

1984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2012년 《문예중앙》 신인문학상으로 등단했다. 소설집으로 《스크류바》가 있다.

박서련 지음

소설가. 철원에서 태어났다. 지은 책으로 장편소설 《체공녀 강주룡》 《마르타의 일》 《더 셜리 클럽》 《마법소녀 은퇴합니다》 《프로젝트 브이》 《카카듀》, 소설집 《호르몬이 그랬어》 《코믹 헤븐에 어서오세요》 《당신 엄마가 당신보다 잘하는 게임》 《나, 나, 마들렌》 《고백루프》 등이 있다. 2018년 한겨레문학상, 2021년 문학동네 젊은작가상, 2023년 이상문학상 우수상 등을 받았다.

박소희 지음

1992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2016년 대산대학문학상으로 등단했다.

송지현 지음

1987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2013년 〈동아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했다.

양동혁 지음

1983년 부산에서 태어났다. 2014년 구상문학상 젊은작가상에 <무적여포>로 등단했다.

우다영 지음

1990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2014년 《세계의 문학》 신인상으로 등단했다.

정영수 지음

1983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2014년 창비신인소설상으로 등단했다. 소설집으로 《애호가들》이 있다.

표지/보도자료 다운로드
독자 리뷰

독자 리뷰 남기기

8 +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