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국어의 문학적 유산에 다름없는 미당 천 편의 시를 드디어 정본으로 만난다

미당 서정주 전집 1 시 : 화사집·귀촉도·서정주시선·신라초·동천·서정주문학전집

서정주

브랜드 은행나무 | 발행일 2015년 6월 30일 | ISBN 9788956608877

사양 변형판 145x205 · 416쪽 | 가격 20,000원

시리즈 미당 서정주 전집 1 | 분야 국내시집

책소개

미당은 겨레의 말을 가장 잘 구사한 시인이요
겨레의 고운 마음을 가장 잘 표현한 시인이다

 

미당 서정주 탄생 100주년 기념
사후 첫 정본 시전집 출간

 
세계의 명산 1628개를 다 포개 놓은 높이보다도
시의 높이와 깊이와 넓이는 한정 없기만 하다(미당 서정주)

 

대시인의 70년 시력(詩歷)을 읽다

「자화상」 「귀촉도」 「국화 옆에서」 「동천」 등 전 국민의 애송시를 남긴 한국의 대표 시인 미당 서정주. 그의 탄생 100주년을 맞아 시, 자서전, 산문, 시론, 방랑기, 옛이야기, 소설, 희곡, 번역, 전기 등 생전에 출간된 저서를 망라한 『미당 서정주 전집』(전20권)이 시전집을 시작으로 2016년 상반기까지 순차적으로 출간된다(은행나무刊).

이번에 출간된 미당 시전집(전5권)은 첫 시집 『화사집』(1941)부터 마지막 시집 『80소년 떠돌이의 시』(1997)까지 15권의 시집과 『서정주문학전집』(일지사, 1972) 제1권의 신작시 55편을 포함, 총 950편의 시를 수록한 미당 사후 최초의 정본이다. 미당 연구자와 제자로 이루어진 간행위원회(이남호, 이경철, 윤재웅, 전옥란, 최현식)는 각 시집의 초판을 저본으로 삼되, 시인의 개작을 반영하고 시작 노트, 최초 발표지 등 다양한 자료를 종합적이고 면밀하게 검토하여 시인의 의도를 최대한 살리고자 했다.

지금 이 시대의 독자를 위한 가독성 높은 정본

이번 전집은 기존에 출간된 미당 시집의 수많은 오류를 바로잡고, 오·탈자를 수정하였으며, 시집과 전집에서 누락된 시들을 찾아서 싣고, 한자를 한글로 바꾸고, 띄어쓰기를 현대식으로 고치는 등 지금 이 시대의 독자가 최대한 읽기 편하게 편집하였다. 각 시집에 실렸던 ‘시인의 말’도 빠짐없이 수록하여 전집을 읽는 독자가 시인이 의도한 시집의 개별적이고도 고유한 시 세계를 음미할 수 있도록 했다.

『미당 서정주 시전집』 1권에는 『화사집』 『귀촉도』 『서정주시선』 『신라초』 『동천』 『서정주문학전집』, 2권에는 『질마재 신화』 『떠돌이의 시』 『서으로 가는 달처럼…』, 3권에는 『학이 울고 간 날들의 시』 『안 잊히는 일들』과 ‘서정주 연보’를 수록했다. 4권에는 『노래』 『팔할이 바람』과 ‘작품 연보’를, 5권에는 『산시』 『늙은 떠돌이의 시』 『80소년 떠돌이의 시 』와 ‘수록시 총색인’을 실었다.

한국의 대표 시인 미당 서정주

미당 서정주 선생의 탄신 100주년을 맞이하여 선생의 모든 저작을 한곳에 모아 전집을 발간한다. 이는 선생께서 서쪽 나라로 떠나신 후 지난 15년 동안 내내 벼르던 일이기도 하다. 선생의 전집을 발간하여 그분의 지고한 문학세계를 온전히 보존함은 우리 시대의 의무이자 보람이며, 나아가 세상의 경사라 하겠다. 
미당 선생은 1915년 빼앗긴 나라의 백성으로 태어나셨다. 우울과 낙망의 시대를 방황과 반항으로 버티던 젊은 영혼은 운명적으로 시인이 되었다. 그리고 23살 때 쓴 「자화상」에서 “나를 키운 건 팔할이 바람이다”라고 외쳤고, 이어서 27살에 『화사집』이라는 첫 시집으로 문학적 상상력의 신대륙을 발견하여 한국 문학의 역사를 바꾸었다. 그 후 선생의 시적 언어는 독수리의 날개를 달고 전통의 고원을 높게 날기도 했고, 호랑이의 발톱을 달고 세상의 파란만장과 삶의 아이러니를 움켜쥐기도 했고, 용의 여의주를 쥐고 온갖 고통과 시련을 지극한 아름다움으로 바꾸어 놓기도 했다. 선생께서는 60여 년 동안 천 편에 가까운 시를 쓰셨는데, 그 속에 담겨 있는 아름다움과 지혜는 우리 겨레의 자랑거리요, 보물이 아닐 수 없다. 선생은 겨레의 말을 가장 잘 구사한 시인이요, 겨레의 고운 마음을 가장 잘 표현한 시인이다. 우리가 선생의 시를 읽는 것은 겨레의 말과 마음을 아주 깊고 예민한 곳에서 만나는 일이 되며, 겨레의 소중한 문화재를 보존하는 일이 된다.  

- 발간사 중에서

미당 서정주는 70년 동안 고전의 반열에 올릴 만한 시집을 여러 권 출간한, 한국 문학사에서 가장 큰 시인이다. 미당처럼 좋은 시를 많이 쓴 시인은 세계 문학사에서도 그 예가 흔치 않다. 미당이 남긴 15권의 시집은 제각기 시의 밤하늘에 빛나는 큰 별들이다.

혼돈과 광기와 관능이 뒤섞인 혁명적인 시 세계를 보여준 첫 시집 『화사집』 이후 전통의 아름다움과 가치를 추구하는 『귀촉도』와 『서정주시선』, 신라 정신에서 한국적 정신의 원형을 찾아낸 『신라초』, 겨레의 삶 속에 녹아 있는 마음과 정서와 지혜를 노래한 『동천』을 지나, 고향에 대한 유년의 기억을 변용하여 한국의 신화를 새롭게 창조한 『질마재 신화』, 넉넉한 여유와 풍류의 정신으로 세상의 고달픔을 넘어서는 경지를 보여준 『떠돌이의 시』, 미당 특유의 세계 견문기를 펼친 『서으로 가는 달처럼…』, 겨레의 과거와 자신의 과거에서 소중한 것들을 찾아낸 『학이 울고 간 날들의 시』와 『안 잊히는 일들』, 고희를 넘긴 이후 세상을 떠날 때까지 세상을 굽어보고 보듬어 안으면서 자신의 삶을 시로 만든 『팔할이 바람』, 『산시』, 『늙은 떠돌이의 시』, 『80소년 떠돌이의 시』 등 미당이 남긴 많은 시들은 한국시의 궁륭천장이 되었고, 미당이 있음으로 해서 한국문학은 한층 풍요로워졌다. 미당은 우리말을 가장 능수능란하고 아름답게 구사한 시인이며 그의 시에는 우리 겨레의 마음이 가장 잘 표현되어 있다. 미당의 시는 20세기 한국인들이 받은 가장 큰 선물의 하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발간사 • 9

제1시집 화사집花蛇集

자화상
자화상 • 27

화사
화사花蛇 • 31 문둥이 • 33 대낮 • 34 맥하麥夏 • 35 입맞춤 • 36 가시내 • 37 도화도화桃花桃花 • 38 와가의 전설 • 39

노래
수대동水帶洞 시 • 43 봄 • 45 서름의 강물 • 46 벽壁 • 47 엽서 • 48 단편斷片 • 49 부흥이 • 50

지귀도 시
정오의 언덕에서 • 53 고을나高乙那의 딸 • 54 웅계雄鷄 1 • 56 웅계雄鷄 2 • 57


바다 • 61 문門 • 63 서풍부西風賦 • 64 부활 • 65

제2시집 귀촉도歸蜀途

밀어
밀어密語 • 71 거북이에게 • 72 무제(여기는 어쩌면…) • 74 꽃 • 75 견우의 노래 • 76 혁명 • 78 석굴암 관세음의 노래 • 79 골목 • 81

귀촉도
귀촉도歸蜀途 • 85 문 열어라 정 도령아 • 87 목화 • 88 누님의 집 • 89 푸르른 날 • 90 고향에 살자 • 91 서귀로 간다 • 92 노을 • 94

멈둘레꽃
소곡小曲 • 97 행진곡 • 98 멈둘레꽃 • 99 만주에서 • 100 밤이 깊으면 • 101 조금 • 105 역려逆旅 • 106

무슨 꽃으로 문지르는 가슴이기에 나는 이리도 살고 싶은가
무슨 꽃으로 문지르는 가슴이기에 나는 이리도 살고 싶은가 • 111

제3시집 서정주시선

시인의 말 • 119

무등을 보며 • 121 학 • 123 국화 옆에서 • 125 아지랑이 • 126 신록 • 128 추천사 鞦韆詞 • 130 다시 밝은 날에 • 132 춘향유문春香遺文 • 134 나의 시 • 135 풀리는 한강가에서 • 136 내리는 눈발 속에서는 • 138 광화문 • 140 입춘 가까운 날 • 142 2월 • 143 꽃 피는 것 기특해라 • 144 무제(오늘 제일 기뿐 것은…) • 145 기도 1 • 146 기도 2 • 147 상리과원上里果園 • 148 산하일지초山下日誌抄 • 150

제4시집 신라초新羅抄

시인의 말 • 155

신라초
선덕여왕의 말씀 • 159 꽃밭의 독백 • 161 사소의 편지 1 • 163 사소의 두 번째 편지 단편斷片 • 165 신라의 상품商品 • 167 구름다리 • 168 백결가百結歌 • 170 해 • 172 노인 헌화가 • 173

고조
고조古調 1 • 179 고조古調 2 • 180 진주 가서 • 181 숙영이의 나비 • 182 기다림 • 183

귓속말
재롱조 • 187 귓속말 • 188 뚜쟁이조 • 189 어느 유생儒生의 딸의 말씀 • 190 석류개문石榴開門 • 191 오갈피나무 향나무 • 192 진영이 아재 화상 畫像 • 194

무제
가을에 • 199 대화 • 201 다섯 살 때 • 203 무제(마리아, 내 사랑은…) • 204 사십 • 205 무제(종이야 될 테지…) • 206 무제(하여간 난 무언지…) • 208 무제(뺨 부비듯 결국은…) • 210 어느 날 오후 • 212 시월유제十月有題 • 213 어느 늦가을날 • 214 추일미음秋日微吟 • 215 단식 후 • 216 한국성사략 韓國星史略 • 218 두 향나무 사이 • 219

인연설화조
편지 • 223 여수旅愁 • 225 바다 • 227 근교의 이녕 속에서 • 229 쑥국새 타령 • 230 인연설화조 • 231

제5시집 동천冬天

시인의 말 • 237

동천
동천冬天 • 241 연꽃 만나고 가는 바람같이 • 242 피는 꽃 • 244 님은 주무시고 • 245 모란꽃 피는 오후 • 247 내 영원은 • 249 내 그대를 사랑하는 마음은 • 250
추석 • 251 눈 오시는 날 • 253 마른 여울목 • 255 무無의 의미 • 257 동지冬至의 시 • 259 저무는 황혼 • 261

고대적 시간
선운사 동구 • 265 삼경三更 • 266 재채기 • 267 우리 님의 손톱의 분홍 속에는 • 269 여자의 손톱의 분홍 속에서는 • 271 비인 금가락지 구멍 • 273 수로부인의 얼굴 • 275 영산홍 • 278 봄볕 • 279 고요 • 280 무제(매가 꿩의 일로서…) • 282
내가 돌이 되면 • 283 외할머니네 마당에 올라온 해일 • 284 어느 날 밤 • 285 한양호일漢陽好日 • 286 산골 속 햇볕 • 287 전주우거全州隅居 • 288 중이 먹는 풋대추 • 289 마흔다섯 • 291 실한 머슴 • 292 가벼히 • 294 연꽃 위의 방 • 295 고대적 시간 • 296

여행가
여행가旅行歌 • 301 봄치위 • 303 내가 또 유랑해 가게 하는 것은 • 304 칡꽃 위에 버꾸기 울 때 • 305 일요일이 오거든 • 306 무제(몸살이다…) • 308 석류꽃 • 309 어느 가을날 • 311 산수유 꽃나무에 말한 비밀 • 312 경주소견慶州所見 • 313 강릉의 봄 햇볕 • 315 무제(피여. 피여…) • 316 나는 잠도 깨여 자도다 • 318 나그네의 꽃다발 • 319

서정주문학전집

시인의 말 • 323

예시
부처님 오신 날 • 327 조국 • 329 3·1아, 네 해일 그리며 살았었느니 • 331 쉰세 돌 3·1절에 • 333 어머니 • 335 신년 유감 • 337 바닷물은 반참 때 • 340 찬가 • 342 이 신문에서는 • 344 영령들이여 • 346 범산 선생 추도시 • 348 4·19혁명에 순국한 소년 시인 고 안종길 군의 영전에 • 350 찬성 • 352 말에게 부쳐 • 354 다시 비정의 산하에 • 356 8·15의 은어隱語 • 358

근작 시편
사경四更 • 363 방한암方漢岩 선사 • 364 단상斷想 • 365 모란 그늘의 돌 • 366
백일홍 필 무렵 • 367 서경敍景 • 368 역사여 한국 역사여 • 369 이런 나라를 아시나요 • 371 한라산 산신녀 인상 • 373 우리 데이트는 • 375 무궁화 같은 내 아이야 • 376 내 아내 • 378 뻐꾸기는 섬을 만들고 • 379 춘궁 • 381 꽃 • 382 음력 설의 영상影像 • 384 나룻목의 설날 • 386 보릿고개 • 388 백월산찬白月山讚 • 389 내 데이트 시간 • 390 할머니의 인상 • 392 남해 보타낙가 산정 • 393 소연가小戀歌 • 394 애기의 웃음 • 395 기억 • 396 이조 백자를 보며 • 397 겨울 황해 • 398 석공 1 • 401 무제(네 두 발의 고무신이…) • 402 첫 벌 울음소리 바윗가에 들려서 • 403 어느 신라승이 말하기를 • 404 초파일 해프닝 • 405 추운 겨울에 흰 무명 손수건으로 하는 기술奇術 • 406 내가 심은 개나리 • 410 무제(“솔꽃이 피었다”고…) • 411 남은 돌 • 412 바위옷 • 413 싸락눈 내리어 눈썹 때리니 • 414
밤에 핀 난초꽃 • 415

작가 소개

서정주

1915년 6월 30일 전북 고창 선운리에서 태어났다. 중앙불교전문학교(현 동국대학교)에서 공부했고, 1936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시 「벽」이 당선된 후 ‘시인부락’ 동인으로 활동했다. 『화사집』 『귀촉도』 『서정주시선』 『신라초』 『동천』 『질마재 신화』 『떠돌이의 시』 『서으로 가는 달처럼…』 『학이 울고 간 날들의 시』 『안 잊히는 일들』 『노래』 『팔할이 바람』 『산시』 『늙은 떠돌이의 시』 『80소년 떠돌이의 시』 등 모두 15권의 시집을 발표했다. 1954년 예술원 창립회원이 되었고 동국대학교 교수를 지냈다. 2000년 12월 24일 향년 86세로 별세, 금관문화훈장을 받았다.

서정주의 다른 책들

표지/보도자료 다운로드
독자 리뷰

독자 리뷰 남기기

9 + 9 =